다음 행선지는 영주 '부석사'
661년, 의상대사가 당나라에 갔을 때 양주(陽州)에 이르러 병을 얻어 양주성의 수위장인 유지인(劉至仁)의 집에 머물러야 했다.
그때 그의 딸 선묘(善妙)낭자가 의상에게 연정을 갖게 되었다.
의상의 나이 37, 선묘의 나이 17살쯤이다. 하지만 의상은 법도로 대하여 제자로 삼았다.
선묘낭자의 정성으로 몸이 완쾌된 의상은 다시 길을 떠나 종남산 지상사에서 10년을 공부하고 671년 급거
귀국하는 길에 선묘의 집을 찾았지만 만나지 못하고 뱃길로 귀국길에 올랐다.
뒤늦게 선묘는 비단 선물을 챙겨 산동성(山東省) 해안으로 달려갔으나 의상이 탄 배는 까마득히 멀어져 간 뒤였다.
선묘는 들고 있던 선물을 의상의 배를 향해 던지며 "원컨대 이 비단이 의상대사님께 이르도록 해 주옵소서" 하니
해풍이 크게 일어나면서 던진 선물이 의상이 탄 배 안으로 날아갔다.
그리고는 자신도 용이 되게 축원을 하고 바다로 몸을 던지니 과연 용으로 변해 의상의 배를 호위해 무사히 배가 신라에 닿았다.
그 덕에 당나라의 침략을 사전에 막아낼 수 있게 되었다.
신라로 온 선묘낭자는 다시 의상의 꿈에 나타나 500명의 이교도들을 제압할 방법을 일러주었다.
다음날 아침 의상은 선묘낭자가 시키는 대로 지팡이를 한 번 두들기니 커다란 바위가 공중에 떠올랐다 내려앉았다.
용으로 화신한 선묘낭자가 들어올린 것이다. 이를 두 번, 세 번 이어서 반복하자 겁먹은 이교도들이
일제히 의상대사에게 무릎을 꿇고 함께 절을 짓는데 앞장섰다고 전해진다.
학교 다닐때 귀에 박히도록 들어온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 중 하나 '부석사 무량수전(無量壽殿)'-국보 제18호
일반 사찰에서 만나는 '대웅전'이라는 현판이 여기선 '무량수전'이다.
(우리 나라 오래된 3대 목조건물- 안동의 봉정사, 예산 수덕사, 영주 부석사)
1358년(공민왕 7) 왜구에 의해 불탄 후 우왕 2년(1376) 중창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구조수법이나 양식 등으로 볼 때
적어도 13세기 초의 건물로 추정한다고...
이 '무량수전' 현판글씨는 공민왕의 친필이다.
무량수전은 특히 '배흘림 기둥'의 전형이라 할 만큼 유명세를 타고 있다.
'배흘림 기둥'은 기둥의 아래쪽에서 위로 올라가면서 점점 굵어지다가 3분의 1 지점에 이르러 가장 굵고
그 위로 서서히 가늘어 지는 형태를 취한다
배흘림기둥에서 달리는 소백산맥을 본 방랑시인 김삿갓은 “인간 백세에 몇 번이나 이런 경관을 볼 수 있을까”라는 시를 읊었다고 한다.
무량수전 왼편에 있는 공중에 세 번 뜬 바위라는 부석(浮石)이 바로 선묘 낭자가 띄운 돌이다.
부석사에서 내려오는 길...
가을에는 이런 느낌이라고...사진이 있기에..그때 다시 가보고 싶다.^^
'달빛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원화성행궁(1) (0) | 2014.05.06 |
---|---|
V-train을 타고 간이역 (0) | 2014.05.02 |
O-train을 타고 도담삼봉 (0) | 2014.05.02 |
추억의 열차 (0) | 2014.05.02 |
목포 띄엄띄엄 구경하기 (0) | 2014.03.28 |